EU 출입국시스템(EES) 공식사이트 바로가기 | 2025년 10월 12일 시행· 유럽 여행 전 꼭 알아야 할 변화와 준비 체크리스트

EU 출입국시스템EES 공식사이트 바로가기 1

2025년 10월 12일부터 유럽을 여행할 계획이 있는 사람이라면 반드시 숙지해야 할 제도가 도입됩니다. 바로 EU 출입국시스템(EES, Entry/Exit System)인데요. 기존의 여권 도장 방식이 사라지고, 지문·안면 생체인식 등록이 필수가 되며, 입국·출국 심사 절차가 디지털화됩니다. 이 변화는 단순한 제도 변경을 넘어, 유럽 여행자 체류 관리, 입출국 대기 시간, 심사 절차 변화 등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미리 준비하지 않으면 예상치 못한 불편을 겪을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EES 제도란 무엇인지, 한국인 여행자에게 영향을 주는 핵심 변화, 출발 전에 꼭 확인하고 준비해야 할 사항 체크리스트, 유의사항과 팁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EES란 무엇인가? 제도 개요

  • Entry/Exit System (EES, 출입국시스템): 유럽 솅겐 지역 29개국을 대상으로, 비(非)EU 국적자의 단기 입출국 정보를 자동으로 등록·관리하는 IT 시스템입니다.
  • 시행일: 2025년 10월 12일부터 단계적으로 시행 시작, 2026년 4월 10일까지 전면 시행 완료 예정
  • 등록 대상: 우리 국민을 포함한 非EU 국적자 중 단기 체류 비자 소지자 또는 무비자 방문자
    • EES 운영 유럽국가 국민, 거주증 소지한 EU 국적자의 직계가족, 거주 허가 및 장기체류 비자 소지자 등 특정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非EU 국적자라도 EES 면제
  • 도입 목적: 국경 심사의 현대화, 국경 통과 절차 간소화 및 신속화, 불법 체류 방지, 쉥겐 지역 보안 강화 등
  • 기존 여권 도장 방식은 점차 폐지: 입·출국 시 성명, 생년월일, 여권 정보, 입·출국 일시·장소, 얼굴 사진(안면 이미지), 지문(생체정보) 등이 기록
  • 운영방식:
    • EES 시행 후 처음 국경 통과시: 입국심사관이 지문을 스캔하거나 얼굴 사진을 촬영하여 동 정보를 디지털 파일에 저장
      • 국경검문소에 설치된 전용 장비(셀프서비스 시스템) 또는 모바일 앱(도착/출발국에서 제공 시)을 통해 사전 등록한 경우 처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입국심사관의 대면 심사 실시
    • EES 시행 후 두 번째 이상 국경 통과시: EES에 등록된 정보가 있으므로, 입국심사관은 지문과 사진만 확인
  • 수집 정보:
    • 성명, 생년월일 등 여권 등에 기재된 정보
    • 출입국 날짜 및 장소
    • 안면 이미지 및 지문 등 생체정보
    • 입국 거부 이력 
      •  수집된 개인정보는 국경·비자·출입국 기관, 유로폴 등 사법·치안 당국, 여타 국가, 국제기구 및 운송업체 등이 접근할 수 있음.
      •  개인정보는 수집 목적에 따라 1년에서 5년까지 보관된 후 자동 삭제
  • EES 적용 국가: 오스트리아, 벨기에, 불가리아, 크로아티아, 체코, 덴마크, 에스토니아, 핀란드, 프랑스, 독일, 그리스, 헝가리, 아이슬란드, 이탈리아, 라트비아, 리히텐슈타인, 리투아니아, 룩셈부르크, 몰타, 네덜란드, 노르웨이, 폴란드, 포르투갈, 루마니아,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스페인, 스웨덴, 스위스

EES 시행국가

2. EES가 바꾸는 변화: 한국인 여행자 영향 포인트

변화 항목기존 방식EES 시행 후 변화
여권 도장출입국 도장 찍힘도장 폐지, 디지털 기록으로 대체
생체정보 등록없음지문 및 얼굴 사진 등록 필수
심사 절차여권 + 서류 확인생체정보 비교 및 자동 확인 절차
대기 시간일반 여권 심사 대기초기엔 등록 절차로 더 오래 걸릴 가능성
재입국 심사여권 제시 + 도장 확인이미 등록된 정보 비교 후 통과 가능성 높음
체류일 계산수작업 또는 입국 인지 기반자동 등록 데이터 기반 계산, 90일 규정 엄격 적용
  • ✅ 특히 유럽 내 90일 체류 제한(180일 기준) 규정에 대해 EES 시스템이 자동으로 체류일을 계산하므로, 초과 체류 시 재입국 거부 위험이 더 커질 수 있습니다.
  • ✅ EES 시행 초기는 입국 대기 시간 증가가 예상됩니다. 심사관 및 자동 등록 절차에 익숙하지 않은 여행객이 많아 혼잡이 있을 수 있으므로, 환승 시간을 넉넉히 두고 이동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 ✅ 다만, EU 거주 허가자, 장기 비자 소지자, 거주증 소지자 등은 EES 대상에서 면제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자신이 면제 대상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3. 출발 전 준비 체크리스트

아래는 유럽 여행 전 반드시 챙겨야 할 항목들입니다.

항목설명 / 팁
전자여권 확인EES는 전자여권(biometric passport) 소지자에게 유리하게 작동하므로,
IC칩 포함 전자여권을 사용해야 합니다.
EES 공식 홈페이지 확인EU EES 공식사이트에서 최신 안내를 확인하세요.
한국 외교부 안내 참고한국 외교부 사이트나 해외안전여행(0404)에서 EES 관련 공지 및 주의사항 확인
국외공관 공지 확인여행국가의 한국 공관(대사관·영사관) 웹사이트에서 EES 관련 안내 참고
(국가별 국경 지점, 절차 등)
공항 도착 시간 넉넉하게특히 첫 입국 시 생체등록 절차가 추가되므로
공항 도착 시간을 최소 2~3시간 이상 여유 있게 잡는 것이 좋습니다.
환승 간격 확보환승이 필요한 경우, 이전보다 더 여유 있게 환승 대기시간을 둡니다.
체류 기간 관리180일 기준 90일 초과 체류 금지를 엄격하게 준수하세요.
자동 계산 시스템이 오버스테이(초과 체류)를 잘 감지합니다.
비자 / 체류 허가 확인장기 체류 비자, 학생 비자, 거주 허가증 등이 있는 경우 EES 면제 여부를 확인하세요.
여행 일정 및 입출국 국가 파악처음 입국하는 국가가 EES 등록 가능한 국경인지 사전에 확인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ETIAS 준비
(추가 예정)
EES 시행 후 일정 시점에 ETIAS(유럽 여행 허가 시스템)
도입될 예정이므로 이에 대비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4. 유의사항 & 팁

  • 변동 가능성: 각 국가마다 국경 지점별로 EES를 적용하는 방식이나 절차가 다를 수 있으므로, 여행 전에 해당 국가 국경관리청 발표나 우리 공관 공지사항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자료 보관 및 개인정보 접근: EES에 등록된 정보는 국경·비자 기관, 유로폴, 일부 국가 및 기관이 접근 가능하며, 보관 기간은 1년 ~ 5년까지입니다.
  • 어린이 및 지문 면제 조건: 일정 나이 미만(예: 12세 미만 등) 어린이는 지문 등록이 면제될 수 있다는 보도도 있으나, 국가별로 적용 방식이 다를 수 있으므로 미리 확인해야 합니다.
  • 첫 시행 시 혼잡 우려: 시스템 도입 초기에는 혼란과 지연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여유 있게 공항이나 국경에 도착하고, 대기 가능성을 고려한 일정을 세우는 것이 안전합니다.
  • ETIAS 도입 대비: EES와 함께 앞으로 ETIAS라는 사전 여행 허가 제도도 도입될 예정이므로, 이 시스템에 대해서도 미리 숙지해두면 좋습니다.

결론

2025년 10월 12일부터 시행되는 EU 출입국시스템 (EES) 은 유럽 여행 절차의 큰 전환점입니다. 여권 도장 방식의 시대가 끝나고, 생체인식 기반의 자동 등록 체계로 입·출국 정보가 관리되면서 여행자에게 여러 변화가 생깁니다. 하지만 미리 준비한다면 혼란은 줄일 수 있습니다.

이런 준비를 통해 끊김 없는 유럽 여행을 만끽하시길 바랍니다.

이 게시물이 얼마나 유용했습니까?

평점을 매겨주세요.

평균 평점 0 / 5. 투표 수 0

지금까지 투표한 사람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게시물을 평가해 보세요.









이 지면은 본문이 생략된
화면입니다.

댓글 남기기

error: 우클릭 할 수 없습니다.